보이스피싱, 스미싱 예방법 총정리! 피해 막는 꿀팁까지

보이스피싱, 스미싱 예방법 총정리! 피해 막는 꿀팁까지

요즘 들어 지인, 가족은 물론이고 은행이나 정부기관까지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요. 그만큼 개인정보 유출과 재산 피해가 빈번해지고 있다는 뜻이죠. 저도 가까운 친구가 피해를 입는 걸 지켜보면서 이 내용을 반드시 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피해를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미리 알고 대처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실제 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피싱 사례들과 함께 보이스피싱을 비롯한 피싱 범죄의 예방법을 꼼꼼히 알려드릴게요.

피싱 범죄 예방 안내 이미지

피싱 범죄, 이렇게 다가옵니다

1. 지인을 사칭하는 피싱

이건 정말 많이 일어나는 유형이에요. 갑자기 ‘핸드폰이 고장나서 다른 번호로 연락했어’라는 메시지, 다들 받아본 적 있으시죠? 이런 연락 뒤에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따라옵니다.

  • ‘수리센터에 접수하려고 하니 신분증 사진 좀 보내줘’
  • ‘사고가 나서 병원비가 급해, 바로 송금해줄 수 있어?’
  • ‘이 링크 한 번만 눌러줄래?’ (악성코드 설치 유도)

피해자는 보통 당황해서 생각할 겨를 없이 행동하게 되죠. 이럴 때 중요한 건 무조건 침착하게 본인 확인을 하는 거예요.

주의사항: 어떤 상황에서도 신분증, 계좌번호, 카드번호 같은 개인정보를 먼저 제공하지 마세요. 문자나 톡으로만 대화가 이어지는 게 의심된다면 꼭 직접 전화로 확인해보세요.

2. 달콤한 고액 알바, 하지만 대포통장?

요즘 SNS나 구직 카페에서 ‘고수익 보장’, ‘1건 10만 원 지급’ 같은 아르바이트 공고, 보신 적 있나요? 이런 제안들은 겉보기엔 무척 솔깃하지만 사실 대부분 보이스피싱 조직이 대포통장을 모집하려는 겁니다.

저도 대학 시절에 이런 제안을 받아본 적이 있었는데, 사소한 경계심 덕분에 거절했던 기억이 있어요. 실제로 자신의 계좌를 제공했다가 다른 사람의 피해 금액 이체에 연루돼 ‘공범’으로 처벌받는 경우도 있어요.

주의사항: 본인의 계좌로 입금된 자금을 다른 곳으로 이체해야 하는 구조, 이건 100% 피싱에 이용되는 대포통장입니다. 고수익 아르바이트는 반드시 의심부터 하세요!

3. 금융회사, 정부기관 사칭

‘저금리 대출 가능’, ‘세금감면 대상자 선정’, ‘자녀의 보조금 지급 신청’ 등을 빌미로 대출을 유도하거나 자금을 송금하게 만드는 경우인데요. 특히 카카오뱅크처럼 앱으로만 대출을 신청할 수 있는 곳은 절대 문자나 전화를 통해 대출을 권유하지 않아요.

저도 최근 ‘정부지원 저금리 상품 대상자’라는 문자를 받은 적 있는데, 알고 보니 출처불명의 사기 문자더라고요. 번호를 검색해보니 수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방식으로 피해를 보고 있었죠.

참고사항: 실제로 금융회사는 본인 인증이나 대출 신청을 위해 어떤 앱 설치나 자금 송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의심될 경우 공식 앱만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피싱 피해 줄이는 꿀팁

지연이체 서비스 활용법

돈을 보낸 직후 ‘내가 피싱에 당한 건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면 이미 늦은 걸까 걱정되시죠. 이럴 때 유용한 게 바로 지연이체 서비스예요. 은행 앱이나 인터넷뱅킹에서 설정할 수 있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이체가 완료되기 때문에, 그 사이 취소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 일정금액 이상 이체 시 지연 적용
  • 자주 쓰는 계좌는 즉시이체로 등록 가능
  • 의심갈 때 이체 취소로 피해 예방
참고사항: 지연이체는 금융사에서 해야 할 별도 설정이 필요하니, 꼭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아요!

피해 발생 후 대응법

송금, 입금했다면?

  1. 즉시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전화해 지급정지 요청
  2. 예: 카카오뱅크 1599-3333 → 8번
  3. 3영업일 + 2주 이내에 지급정지 피해금 환급 신청 필요 (피해 구제 신청 자세히 보기)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경우

악성앱이 설치됐다면?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이 깔렸다면 바로 삭제하세요. 그래도 찝찝하다면 휴대폰 제조사 AS센터에서 공장초기화도 고려하세요. 그리고 공동인증서나 금융앱 비밀번호는 즉시 변경이 필요합니다.

실제사례, 영상으로 확인하기

실험카메라: 지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우리 가족은 피해가지 못했다?!

실험카메라: 고수익 알바인 줄 알았는데 보이스피싱의 ‘중간 인출책’이었다면?

신고는 신속하게!

  • 지급정지 및 피해신고: 카카오뱅크 1599-3333 (8번) 또는 경찰청 182
  • 피해상담 및 환급안내: 금융감독원 1332
참고한 자료:

– 금융감독원 공식 블로그 https://blog.fss.or.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https://cyber.go.kr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