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요약
- 부모님을 기본공제 대상자로 올릴 수 있는 조건
- 형제 중 한 명만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이유
- 형제 간 의료비 나눠 지출 시 세액공제 전략
- 실손보험금 수령 시 주의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내 실제 경험 사례
- 참고사항과 주의사항
요약
부모님의 병원비를 형제끼리 나눠 냈더라도, 세액공제는 오직 한 명만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을 기본공제 대상자로 등록한 사람만 해당 의료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죠. 이 글에서는 어떤 조건에서 공제가 가능한지, 형제 간 공제 전략은 어떻게 짜야 하는지, 실손보험금 수령 시 유의사항과 실제 사례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부모님을 기본공제 대상자로 올릴 수 있는 조건
1. 부모님의 연령과 소득 확인
기본공제 대상자로 부모님을 올리려면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해요.
- 만 60세 이상
- 연 소득이 100만 원 이하
이 조건을 충족하면 부모님을 기본공제 대상자로 올릴 수 있고, 그로 인해 병원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2. 예외 조건: 동거 여부
혹시 부모님이 60세 미만이거나 소득이 100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함께 거주하고 있다면 예외가 적용될 수 있어요. 실제로 제가 작년에 이런 케이스였죠. 아버지가 58세셨지만, 저와 함께 살고 있어서 공제가 가능했어요.
형제 중 한 명만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이유
형제 둘이 부모님 병원비를 나눠 냈다고 해서, 세액공제도 나눠 받을 수는 없어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부모님은 기본공제 대상자로 단 한 사람에게만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만약 형이 부모님을 기본공제 대상자로 등록했다면, 동생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어요. 부모님은 형의 공제 대상이기 때문에 세법상 동생은 해당 지출에 대한 세액공제를 청구할 수 없는 거죠.
형제 간 의료비 나눠 지출 시 세액공제 전략
현명한 전략: 한 명이 지출하고 나머지 형제가 송금
형제끼리 병원비를 나눠 부담하고 싶다면, 실제 병원비는 한 사람이 전액 지출하고, 나머지 형제가 그 사람에게 송금하는 방식이 좋아요. 그래야 지출한 사람이 의료비 세액공제를 온전히 받을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저희 형제의 경우, 제가 전액 지출하고 형이 저에게 절반을 송금해줬어요. 이러면 저는 100% 의료비 지출자로 인정받아 공제를 받을 수 있었고, 형은 그냥 가족을 도운 것으로만 처리된 거죠.
실손보험금 수령 시 주의사항
실손보험금 받은 만큼은 공제 불가
의료비 세액공제를 계산할 때, 실손보험금 수령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만약 부모님이 실손보험에서 병원비 일부를 환급받았다면, 그 금액은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만약 이 부분을 빠뜨리고 신고하면, 추후 세무조사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더 쉽게 확인하는 방법: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실손보험금 수령 내역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다만, 부모님이 자료 제공에 동의해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형은 독립해서 살고 있고, 저는 부모님과 삽니다. 누가 공제를 받는 게 유리할까요?
부모님과 실제로 동거 중인 분이 공제를 받는 게 유리합니다. 동거 여부가 공제 조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에요.
Q. 부모님이 연금소득으로 연 150만 원을 받으시는데, 공제 대상이 될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소득 기준인 100만 원을 초과하므로 일반적으로는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동거 중이라면 예외로 인정받을 수도 있어요.
내 실제 경험 사례
작년에 아버지가 큰 수술을 받으셨어요. 병원비가 500만 원 정도 나왔고 형과 제가 반반 나눠 부담했죠. 초반엔 몰라서 각자 카드로 결제했는데, 연말정산 때 보니 세액공제는 전혀 되지 않았어요.
세무사 상담 끝에 알게 된 건, 병원비를 한 명이 전액 결제하고, 그 사람만 공제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었죠. 그다음부터는 형이 저에게 절반을 송금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어요.
주의사항과 참고사항
⚠ 주의사항
- 실손보험금 수령액을 반드시 의료비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 부모님을 한 명만 기본공제 대상자로 지정해야 합니다.
- 형제 모두가 공제받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참고사항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실손보험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동거 여부에 따라 공제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기본공제 대상자 등록은 매년 갱신해야 합니다.
이 콘텐츠는 행복자산관리연구소 김현우 소장님의 자문을 통해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