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로 경제적 자유를 꿈꾸다: 2년간의 현실과 교훈

‘주식하면 망한다.’ 어린 시절, 어른들께 귀가 아프도록 듣던 이야기입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도 주식으로 전 재산을 날리고 빚쟁이에게 쫓기는 인물들이 자주 등장했죠. 이러한 장면을 볼 때면 주식은 파친코나 슬롯머신처럼 운에 맡기는 도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2년 전,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덮친 때 주식 시장에 발을 들이게 되었습니다. 매일 아침 확진자 수를 확인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는데,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는 다른 숫자가 더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바로 주식 수익률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20% 수익을 올리는 사람도 있었고, 2~3배가 넘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들려왔죠. 경제가 나빠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코인부터 부동산까지 모든 것이 오르고 있었습니다.

주식을 시작하는 친구들이 급속도로 늘어났습니다. 술자리에서는 주식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고, 저는 외계어 같은 용어들을 이해하지 못해 애꿎은 술잔을 들었다 놓기를 반복했습니다. ‘그만 오르겠지’, ‘저러다 훅 떨어지겠지’라는 생각으로 초조하게 주가를 지켜봤지만, 주가는 위로, 위로 끊임없이 치솟았습니다.

결국 몇 달을 안절부절 쳐다만 보다 더는 못 참고 주식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마치 한 마리의 불나방처럼. 초심자의 행운이라고 할까요. 넣는 주식마다 위로 향했죠. 미국 주식 한 종목은 하루에도 2~30%씩 올랐고, 일주일 만에 두 배가 되었습니다. ‘돈이 일하게 하라’는 유명 투자자의 말이 실감났습니다. 자는 동안에는 바다 건너 미국에서 제 달러들이, 아침 9시부터는 원화가 열심히 일했습니다.

주식 투자 그래프

매일 늘어가는 숫자를 보니 돈이 돈처럼 보이지 않고 게임머니 같았습니다. 몇 년이 지나면 ‘경제적 자유’를 이룰 것 같았죠. 그동안 예금만 넣었던 저 자신을 자책하며 남은 예금을 깨서 주식을 샀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났습니다.

코로나는 여전했지만, 확진자 수의 의미는 이전과 달랐습니다. 붉게 물들었던 주식 계좌는 파란색으로 바뀌었고, 친구들과 주식 이야기를 나누는 상황도 뜸해졌습니다. 자연스럽게 예금과 적금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요즘 이자 많이 올랐다더라’, ‘어느 은행이 좋다더라’ 하며 조용히 주식 계좌를 확인했습니다. 흐르는 건 주식일까, 눈물일까. 큰돈을 벌어오겠다며 당당히 집을 나섰던 저는 예금이라는 안전한 보금자리로 돌아왔습니다.

주의사항:

주식 투자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높은 위험도 따릅니다. 투자 전 충분한 정보 수집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원금이 보장되면서 매년 2%의 수익률을 주는 금융상품이라니! 예금을 신청하며 1년 뒤 이자를 확인했습니다. 이자로 살 수 있는 것, 할 수 있는 것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어느새 미소 짓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조금 쓴 맛을 보긴 했지만, 주식 투자를 후회하지 않습니다. 2년 동안 급격한 롤러코스터를 겪으며 경제 관념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소중한 돈을 지키기 위해 주식 서적도 읽고, 다른 투자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예금만 차곡차곡 쌓거나 주식에만 몰두하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을 분배하는 것에 신경을 쓰게 되었습니다. 경제라는 것은 남의 이야기인 줄 알았지만, 주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경제였습니다.

참고사항: 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는 투자 결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꾸준한 학습과 정보 수집을 통해 보다 현명한 투자자가 되세요.

아무 생각 없이 보던 뉴스를 시청하며 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흐를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생각의 전환은 실제로 주식으로 돈을 버는 것보다 더 값진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여름밤의 꿈같은 수익률은 사라졌고, 꿈에서 깨어나 현실로 돌아왔습니다.

현실은 언제나 녹록지 않지만, 꿈을 아쉬워할 수만은 없습니다. 열심히 일해서 근로소득을 쌓고, 예금의 소소한 행복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가끔 들려오는 주식 시장의 승전보에 기뻐합니다. 돈이라는 현대사회에서 뗄 수 없는 무기를 위해 오늘도 현실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참고 이미지를 확인하세요.

출처: 레몬 이코노미

위로 스크롤